books2024. 5. 29. 15:52
표지가 예쁘고 얇은 책은 자주 손이 가는 편. 이 책을 어디서 추천해줬었더라... 제목에 끌려서 읽게 되었다.
책 읽는 시간은 정말 개꿀. 매일 매일 그냥 아무 생각 안하고 책만 읽었으면 좋겠다.
"어떻게 살아왔지?"......"못 이룬 꿈뿐이예요, 어머니."

 
“도대체 삶이란 무엇인가? 여기에 존재한다는 것, 하나의 형식에 이렇게 갇혀 있는 것, 행동하고 괴로워해야만 하는 이 속박은 과연 무엇인가? 고귀해서 손댈 수 없는 핵심이 고통을 당하고 있는 이 껍데기는 무엇인가? 고귀하든 비천하든, 기쁘든 슬프든, 빛나든 암담하든 살아가야만 하는 이 삶이란 과연 무엇인가?”

p.69


이 책에는 크리스마스 잉어 외에도 세편의 단편이 더 있다. 길, 굶주림, 백화점의 야폐. 유대인으로 태어난 비키 바움은 이 단편소설에서 하층민, 장애인, 전쟁을 겪는 사람들, 신경증에 걸린 여자 등등을 굉장히 예민하게 묘사하는데, 이 소설의 전반적인 느낌은 ‘참담함’이다… 마지막 단편인 백화점의 야페에서 그 참담함은 절정을 이루는데… 굶주림에서 느낀 참담함에서 더 배가되는 것 같은 느낌이랄까. 먹고사는 문제와 현실을 매우 덤덤하면서도 예민하게, 위트있게 그려낸 것 같지만 읽고 나면 너무 씁쓸하고 슬프다. 참 멋진 작품이었다.

Posted by goun
Diary2024. 5. 29. 15:50

# 생각해보면 8년이라는 시간을 대학에서 보낸 나는 그 시간들을 정말 내 작품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만 쓰려고 무진장 노력했다. 시간이 없으면 잠을 줄여서라도 그렇게 했다. 휴학을 하고 일을 하면서도 청강수업을 계속 들었고, 어떻게든 아까운 학비에서 조금이라도 내것을 많이 만들자 싶어서 내 삶의 모든 포커스를 '나의 작업 연구'에만 맞추었다. 그리고 재난 포럼이라던지 철학, 인문학 관련 강의들을 찾아 다녔고, 중앙대 자유인문 캠프에도, 사간동에 있던 철학 아카데미에도 주구장창 다녔다. 읽어야 하는 책들을 쌓아두고 읽으면서 좋은 글귀를 매일 매일 노트에 적었고, 내 다이어리는 항상 빼곡히 채워졌다. 시간 여유가 있으면 무조건이라도 내 바운더리 안에서 바깥으로 시선을 계속 돌렸다. 내 주변 환경을 바꿔보고자 노력했고, 그때마다 떠난 여행은 내게 큰 자산(보물)처럼 남았다. 그 모든게 작업을 위한 시간들이었는데, 그런 연구의 시간들이 지금까지 내가 작업을 손에서 놓지 않고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었는데, 지금은 너무 다르다. 작업을 하는 시간 외의 시간들을 연구의 시간으로 남겨놔야 하는데, 그러기엔 마음이 바쁘고, 작업을 제대로 할 시간도 충분히 내기 어렵다. 아이를 돌보며 내 책을 보는 것 보다 아이의 책을 더 많이 읽어주게 되고, 도서관을 가도 어린이 도서관부터 먼저 가게 되는것이 현실이다. 나도 내가 지금 연구를 더 깊이 해야함을 알고 있지만, 그 앎이 이 현실에서 나를 끄집어내어 줄 수는 없다. 그러니까 나는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너무 잘 알고 있지만 급히 생각하지는 말자고 날 다독일 수 밖에. 새로운 작업에 대해 너무 부담을 가지지 말자, 진심으로 지금 내가 하고자 하는 것들만 생각하자, 시간이 들더라도 충분히 연구를 하고 작업을 하자, 필요함을 알면서도 눈을 감고 외면하지 말자... 

#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하고 있던 차에 현우님이 나에게 지금 정말로 필요한 조언을 해주었다. 새로운 작업을 위한 공부에 대한 나름의 개인적인 의견 제시였으나 나에겐 정말로 필요했던 찌름이었다. 아주 정곡이 찔린 나는 며칠간 그것에 대해 생각했다. 여러가지 회로들 속에서 무엇을 바꾸고 무엇을 남겨야 좋을지, 지금 어디에 포커스를 맞추어야 하는지. 얼마나 더 깊이있는 연구를 해야하는지. 내가 나중에도 혹여 더 나아가지 못한다면 또 이렇게 찔러주기를 바라며.^^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결과 단절  (0) 2024.09.02
요즘 근황  (1) 2024.07.11
봄 햇살  (0) 2024.05.19
이제 정말 끝. 마지막.  (0) 2024.05.10
현타오는 요즘 근황  (1) 2024.04.25
Posted by goun
Works2024. 5. 27. 23:00

뵐때마다 항상 사랑스러우신 갤러리 박영 대표님과. 사진찍는걸 좋아하시는 대표님과 나.^^
함께 동행한 나의 스폐셜 게스트 현우님과 소녀같으신 대표님.^^

 

전날 체를 심하게 해서 장염링겔까지 맞고 간 터라 음식에 입도 못대는 사태가...맛있는 저녁식사와 뷔폐를 먹지 못했다. 정말 아쉬웠다.

 

이번 아티스트 토크에 함께 참여한 작가님이신 이한정 작가님의 첫 발표가 시작되었다. 굉장히 섬세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그리시는 분. 보고있으면 너무나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그림들인 듯.ㅎㅎㅎ
뷔폐를 하나도 못먹는 나 때문인지 현우님도 연신 샤인머스캣만 드심.ㅋㅋㅋㅋㅋ 갈비라도 뜯으셨어야 했는데 말이다.ㅠㅠ
내 발표 시작. 20분 타이머가 울리지 않기를 바랬지만 결국 울렸고 30분 정도 했다.ㅎㅎㅎ
날 찍어주시는 음악대장님의 아름다운 손.
캄사! 캄사!
마지막으로 유별남 작가님의 발표. 여행을 좋아하는 나로서는 그곳들의 사진들이 너무도 반가웠다. 가장 예뻤던 사진. 파키스탄 오지마을의 두 소녀.
아티스트 퀴즈 타임! 작품 만드는데 소요된 시간을 맞추는 것이었는데 정답은 4320시간이었고, 가장 근접하게 맞추신 두분께 나의 아트북과 내 작업이 들어간 앨범(국카스텐 2집과 코튼스틱 2집)을 선물로 드렸다.^^
서울클럽에 걸린 작품들을 설명해주시기 위해 도슨트를 해주신 대표님과 구 큐레이터님.(구큐님 사진이 없네요...)
내가 지금까지 작업한 그림들중에서 가장 따뜻한 그림인 <포옹2> 작품이 서울클럽 지하 복도에 걸려있다.
빠질 수 없는 단체사진. 장장 5시간 가까이 이 곳에 있었다.
어렵게 시간 내어 함께 와준 음악대장님과 갤러리 박영과 서울클럽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넘 좋은 시간이었다.^^

Posted by goun
Works2024. 5. 24. 14:06

정말 오랜만에 내 작업을 전반적으로 정리하고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다 작년에 전시했던 갤러리 박영의 대표님 덕분이다. 내 작업을 이해해주시고, 응원해주시는 것도 모자라 이런 좋은 자리에 초대까지 해주셔서 서울클럽이라는 곳에서 작품을 전시하고 발표하게 된 것이다. 이곳은 1904년에 고종이 만든 사교클럽이고, 엄청 화려하진 않지만 역사가 굉장히 깊은 곳이었다. 이런 역사깊은 곳에서 내 전반적인 작품을 보여드릴 수 있다니 감개무량하였다. 스폐셜 지인으로 현우님도 함께 했다.^^

간추린다고 간추렸는데도 작품 페이지가 120이 넘어갔고, 20분 PT시간이 약간 초과되었다. 할말을 다 하지는 못했지만 꼭 해야하는 말들은 하고 왔다. 작품에 대한 설명은 항상 어렵고 힘들지만, 그 당시에 왜 이런 작업을 하게 되었는지, 왜 이것을 작업할 수 밖에 없었는지, 이걸 하지 않으면 안됐던 이유들을 이야기했고, 약간 걱정을 하긴 했지만 좋은 피드백들을 엄청 받고 왔다. 항상 티비로만 뵈었던 유별남 사진 작가님과도 인사를 나눴고,(알고보니 시아버님과 같은 미술대학 선후배 사이) 두 아이의 엄마인 이한정작가님도 이번 기회로 알게되어 좋았다. 좋은 에너지들을 얻었으니 작업을 위한 시간들을 단단히 다져야지!^^

Posted by goun
Diary2024. 5. 19. 23:19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근황  (1) 2024.07.11
연구들  (0) 2024.05.29
이제 정말 끝. 마지막.  (0) 2024.05.10
현타오는 요즘 근황  (1) 2024.04.25
이런 저런 이야기들  (0) 2024.02.15
Posted by go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