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수미 선생님의 비평을 한시간동안 들으며... 선생님은 내게 정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이고 디테일한 이야기를 해주고 싶으셨구나하고 가슴 깊이 느꼈다. 어떨땐 굉장히 실랄하게 독설도 많이 하시지만, 내게는 내 작품이 좋고 나쁘고를 떠나 다 같이 이야기하는 자리를 만들고 싶어하셨던 것 같다. 내셔널지오그라피 사진과 내 작업을 연관지어 설명하셨을 때에는...왜 그런 말씀을 하시는지 알고는 있었지만 별로 인정하고 싶지 않았다. 왜냐하면 나는 죽음을 죽음이라고 대놓고 표현하고 싶은 의도가 전혀 없고, 죽음의 강렬한 고통과 자극, 어두운 죽음의 실체...이런 것들을 표현하고자 하는것이 아닌,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사라지고 소멸되는 과정에서 전복된 아름다움을 표현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나는 결코 죽음을 경험할 수 없다. (어떤 사건 사고가 닥치지 않는 이상) 갤러리 대표님은 '성남 화장터에 안가보고서 죽음을 논하지 말라.'라고 말하며 마치 내가 무슨 상상만으로 거대한 서사를 가볍게 이야기하는 것처럼 말씀하셨는데, 나는 이미 22살에 갠지스강에서 시체를 불로 태우는 장면을 봤었고, 시체를 운반하는 골목에 있던 게스트 하우스에서 지냈다. 그때 시체를 운반하던 가장 카스트의 아래에 있던 사람들의 노랫소리가 정말 구슬펐다. 갠지스 강 위에서 보트를 타고 까만 연기 자욱한 시체들 가까이로 갔을 때, 해골 하나가 장작 아래로 툭 하고 떨어졌다. 9년전의 그 죽음을 목도하는 순간을 나는 잊을 수가 없다. 

어쨋든, 경험한 자만이 창작에 있어 자격요건(?)을 갖춘다는 그 이상야릇한 논리는 '죽음'을 이야기 하는 지점에서는 잠깐 벗어나있기로 한다. 내가 죽어볼수는 없잖아? 비판은 무시하고 비평만 잘 들으면 되는거니까 무조건적으로 마음에 안든다는 둥 불편하고 보기 싫다는 둥의 쓸데없는 감상따위는 잊어버리기로 한다.(비평가님의 말은 절대 아님) 그리고 나는 크리틱에 굉장히 많이 익숙한 사람이어서 비평이 정말 좋았는데, 그 자리에 있던 디자인 전공자들이나 후배들은 꽤 놀랬는모양이다. 응. 그들이 익숙하지 않은걸까 아니면 내가 고새 맷집이 강해진걸까나. 남을 쉽게 비판하는 사람은 자신의 무능함을 쉽게 들켜버리기 마련이다. 아는게 없으니 아는것만 가지고 왈가왈부하고, 부분이 전체인 줄 아는 것이지. 나이 헛먹고 정말 그러기도 쉽지 않다. 가여운 영혼에게 애도를.

 

# 주변 사람을 불편하게 만드는 것도 정말 가지가지다. 어쩌면 너무 오랜 시간동안 그 사람의 행동을 모두가 방치해두고 있던건 아니었을까. 계속 덮어두고 덮어두다가 결국에는 본인만 모르고 모두 다 터져버리게 될지도 몰라. 왜 이런 상황까지 오게된것인지 나는 생각하고 싶지가 않다. 얼마전 페친 한분이 올린 글을 인용하자면, "친구 덕 볼려고 들지만 않으면 아무런 문제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이 말이 정답이네요. 자꾸 내 안의 빨간 버튼을 누르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런데 그것을 나는 그 아이에게 '누르지마!'라고 이야기하지 않을 것이다. 솔직히 말하면 말을 해야 하는 가치를 잘 모르겠다.

 

# 새벽에 글을 쓰다보니 온통 디스글이구만. 내일이면 비공개할지도.=_=

'Works > 2011-2013 : Allegory of In-betweenn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고운 개인전 Allegory of In-Betweenness, 사이성의 알레고리  (0) 2013.07.03
구토  (0) 2013.06.27
갤러리 가는 길  (2) 2013.06.25
모래 여자  (0) 2013.06.24
비평 영상 관련  (0) 2013.06.24
Posted by goun
신기한 일이다. 꿈에서 본 것들이 그대로 현실화된다는 것이. 그저 기시감이라고 말하면 되는건가? 예전부터 데자뷰를 느끼는 횟수가 다른 사람들에 비해 잦긴 했지만 글을 쓰는 도중에도 데자뷰를 느낀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내가 쓰고 있던 문장들은 이미 꿈에서 본 내용들이었다.(이것은 글을 쓸때에는 알지 못한다. 글을 다 쓰고난 후 몇초간 흐르는 정적에서 알 수 있다. 정지된 화면같은.) 그 메모장의 바탕과 내가 쓰고 있던 문장의 길이만 더 길었던 것과 단어들과 조사까지 모두 꿈에서 봤던 것들이다. 이럴때마다 섬뜩섬뜩하지만 오늘은 좋은날이었으니까 하고 그저 마음을 놓아본다.

                                                                                                               _아트스페이스 에이치. 사랑스런 제자들과


오늘은 아트스페이스 에이치에서 그룹전 오픈을 했고, 강수미 선생님께서 오셔서 한시간 넘게 그림 하나하나를 보시며 비평을 해주셨다. 여과없이 직설적이지만 매우 논리적이고 작은 부분들까지 디테일하게 짚어주시는 것을 보고 쓴소리든 단소리든 이건 정말 대단한 피드백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얼마전 괜히 울컥울컥해서 작업들을 생각하며 눈물이 났는데, 그간 고민했던 여러 부분들과 선생님의 지적은 일맥상통하는 부분들이 많았고, 또 과도기적 작품에서 드러나는 나의 고민들을 캐치하셨고, 방향성까지 일러주셨다. 그리고 내용뿐만 아니라 그것들을 구축할 수 있게하는 형식적인 부분들도 이야기를 꽤 많이 해주셨고 그 부분이 엄청난 자극이 될거라는것을 직감적으로 느꼈다. 매번 작업은 작가의 손을 떠나면 작업 만으로 힘을 가져야 정말 좋은 작품이라고 생각하면서 매번 소통의 문제에서 고민하다 무너지는 나였다. 나의 작업을 이정도로 비평해주시는 분이 계시다는 것에 정말 감사한 마음이 들었다. 감격스러울수밖에. 끊임없는 몰입. 그리고 실험. 매체에 대한 연습. 내 작업이 어떻게 변하게 될지, 이제는 어떤 모습으로 표현이 될지 나 조차도 궁금해져왔다. 여행은 나의 작업을 조금 더 변화시킬 것이다. 그리고 나를 변화시킬 것이고. 그리고 시간에 쫓겨 여유없이 작업을 마무리하는 전시가 아닌, 시간과 고민이 켜켜히 응축된 그런 전시를 준비할 것이다.

나는 요즘 주변 사람들에게 보기보다 외유내강. 강단이 있다는 말을 종종 듣는다. 강단이라는 어감이 나는 참 좋다. 스스로 단단해져가고 있는 느낌이 들어서. 작업을 하는 이에게 강단이 있다는 말 만큼 더 좋은 칭찬은 없는 것 같다. 매순간 감사하다.

'Works > 2011-2013 : Allegory of In-betweenn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분좋은 일요일  (0) 2012.02.20
영롱한 블루  (0) 2012.02.19
작업방  (2) 2012.02.14
Artspace H, New Inscription전 2012.2.16~2.29  (0) 2012.02.14
[전시소식] 신새김전_아트스페이스 에이치  (0) 2012.01.31
Posted by goun